테오도루
Theodoru
ZFG Kranyus

Q.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

Could you briefly introduce yourself?

제 이름은 테오도루 바디우입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예요.

My name is Teodoru Badiu. I am an artist based in Vienna, Austria.

Q. 어떻게 팝 아티스트의 길을 걷게 되셨나요?

How did you start your journey as a pop artist?

저는 어릴 적부터 예술에 관심이 많았어요. 아버지께서 예술가이자 사냥꾼, 박제사이셨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동물과 새를 박제하는 법을 배우며 자랐죠. 그 무렵부터 해골과 뼈를 활용한 조각 작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본격적인 작가 생활은 1990년대 초, 비엔나의 People’s Art School에 다니면서 시작됐어요. 이후 포토샵과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해 초현실적인 이미지 작업을 하며 디지털 아티스트로서의 길을 걷게 됐고, 1990년대 말에는 웹사이트 Apocryph.net을 통해 제 작업 세계를 처음 공개하게 되었죠. 2005년, SAE 칼리지에서 공부하며 처음 CINEMA 4D를 접하게 된 경험이 제 작업 세계를 완전히 바꿔놨어요. 같은 해에 www.Theodoru.com을 개설하며 본격적으로 3D 기반의 일러스트와 캐릭터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제 잉크 드로잉 작업들을 위한 www.Popartoons.com도 운영하고 있어요.

I’ve been into art for as long as I can remember. My father was an artist, hunter, and taxidermist, so I grew up surrounded by his work—and even learned how to prepare animals and birds as a kid. That’s when I started experimenting with bones and skulls, eventually making my first sculptures. My journey as an artist began in the early ’90s at the People’s Art School in Vienna. I later explored surreal photo manipulations using Photoshop and my own photography, which led to the launch of my first website, Apocryph.net, in the late ’90s. In 2005, I discovered CINEMA 4D while studying at SAE College, and it completely changed my creative direction. That same year, I launched Theodoru.com and began focusing on 3D illustration and character design. I also started Popartoons.com to showcase my ink drawings.

Q. 가장 애착이 가는 대표작은 무엇인가요? 그 작품이 작가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What is the work you feel most attached to? I'd love to hear why that piece holds special meaning for you.

사실 저에게는 ‘지금 작업 중인 작품’이 언제나 가장 특별한 작품이에요. 하지만 꼭 하나를 꼽아야 한다면, 제게 가장 특별한 의미를 지닌 캐릭터는 제 또 다른 자아, Kranyus라고 할 수 있겠네요.

The truth is, whatever I’m currently working on always feels like the most special to me.
But if I had to choose one piece or character that holds a special meaning, it would be Kranyus, my alter ego.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받으시나요?

Where do you mainly draw inspiration from?

제 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건 단연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에 박제사로 일했던 경험이에요. 그리고 또 하나 큰 전환점이 되었던 건, 23살 때 총에 세 발이나 맞은 사건입니다. 그 이후로 저는 매일 뼈 통증을 안고 살아가고 있어요. 그런 신체적인 경험도 제 예술에 원천이 되었죠. 그리고 제 작업에 큰 영감을 주는 또 다른 원천은 제가 어린 시절부터 좋아했던 고전 애니메이션들이에요. 지금까지도 애정을 가지고 있는 디즈니, 맥스 플라이셔, 업 아이웍스, 그림 내트윅, 그리고 하나-바버라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들은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제 작업 방식에 큰 영향을 줬어요. 그 외에도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작품들, 그리고 초현실주의와 팝아트 아티스트들(리히텐슈타인, 워홀, 키스 해링 등)의 영향도 받았어요.

One of the biggest early influences on my work came from my childhood and teenage years working in taxidermy. At 23, I was shot three times—a traumatic event that still affects me today, as I live with chronic bone pain. That experience continues to shape my perspective and artistic voice. Another major source of inspiration is the classic cartoons I grew up with and still love to this day. The works of Disney, Max Fleischer, Ub Iwerks, Grim Natwick, and Hanna-Barbera have had a huge impact on my character-based creations. I’m also deeply inspired by the paintings of Hieronymus Bosch, as well as the Surrealist movement and Pop Art icons like Lichtenstein, Warhol, and Haring.

Q. 아이디어를 실제 작업물로 옮길 때의 창작 과정이 궁금해요. 스케치, 스토리, 시각 이미지 중 어떤 것으로부터 시작되나요?

We're curious about your creative process. When developing a piece, do you usually start with a sketch, a story, or a visual image?

제 작업의 거의 모든 시작은 스케치북에 그린 작은 드로잉에서 출발해요.

Almost everything that I create starts with a sketch in my sketchbook.

Q. 작품 속에 귀여움과 잔혹함이 공존하는 것 같아요. 작품 속 캐릭터들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나 메시지가 있으신가요?

There seems to be a coexistence of cuteness and brutality in your work. Is there a specific theme or message you aim to convey through your characters?

사실 제 모든 작업에는 하나의 공통된 메시지가 담겨 있어요. 바로 희망을 잃지 말자는 거죠. 삶이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고통뿐인 것처럼 느껴질 때조차, 언제나 그 안에서 빛나는 무언가를 찾아보려는 태도가 중요해요. 절대 포기하지 말고, 희망을 잃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Actually, all of my work revolves around the idea of never losing hope. Even when life feels like it’s full of nothing but pain—whether physical or emotional—I believe it’s important to keep looking for the bright side. Never give up, and never lose hope.

Q. 만약 작가님의 캐릭터가 하루 동안 실제로 살아 움직일 수 있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 같나요?

If one of your characters could come to life for just one day, how do you think they would act?

그냥 그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할 거라고 생각해요. 살아 있다는 사실 자체를 마음껏 누리며, 인생을 있는 그대로 즐기고자 할 거예요.

I think it would try to make the most of it—enjoy being alive, have fun, and live to the fullest.

Q. 작가님은 오스트리아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계실 텐데, 오스트리아의 아트토이 문화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그곳의 창작 환경이 작가님의 작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궁금합니다.

You’re currently based in Austria—what is the art toy culture like there? And how has the creative environment around you influenced your work?

안타깝게도 오스트리아에는 아트토이 문화가 거의 없어요. 반면 스트리트 아트와 팝아트 커뮤니티는 꽤 활발하고 다양하죠. 전시를 보러 다니거나 작가 친구들과 만나서 함께 어울리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시간을 자주 가지곤 해요.

Unfortunately there is almost no art toy culture there.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and pop art communities are quite vivid and diverse. I used to go to exhibitions and meet up with artist friends to hang out with them and exchange ideas.

Q. 여행을 다니시면서 작가님의 캐릭터들(Skulltoons, Kiyoko, Kuwalla 등)과 동행하며 사진을 찍어주시는 게 인상 깊은데요. 이런 작업이 작가님한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해요.

We’ve found it fascinating how you travel with your characters—like Skulltoons, Kiyoko, and Kuwalla—and photograph them on location. What does this practice mean to you?

제 캐릭터들은 모두 제 마음속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가능하다면 어디를 가든 몇몇 캐릭터들을 꼭 함께 데려가요.
그렇게 여행을 다니다 보면 멋진 추억이 쌓이기도 하고, 전 세계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캐릭터들을 직접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생기죠.
그렇게 시작된 만남이 새로운 협업이나 영감으로 이어지기도 했어요.

All my characters have a special place in my heart and I love to have some with me wherever I go, if possible. That way some wonderful memories are made and I also have the chance to introduce them when I meet people around the world that could lead to new collaborations or ideas.

Q. 이번 작품에 대해 설명해 주시겠어요?

Could you tell us about the piece you created for this collaboration?

이번 협업에서는 Kranyus를 중심에 두되, 그중에서도 이 캐릭터의 ZFG (Zero F*cks Given) 모드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이런 태도나 상징은 제 작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테마인데요. 저에게는 '인생에서 모든 걸 통제할 수는 없고, 때로는 그냥 흘려보내고 내려놓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For this collaboration I wanted to use Kranyus as a base but in his ZFG(Zero F*cks Given) attitude. The TFG attitude or sign is a theme that I use often. For me it means that in life you can't control everything and sometimes you have to let go and adopt that attitude.

Q. 이번 작품이 스케치를 비롯해서 스니커즈, 토이, 3D 콘텐츠까지 굉장히 입체적이에요.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This project spans sketches, sneakers, toys, and even 3D content—it’s impressively multidimensional. What led you to explore so many different formats in this piece?

제가 사용하는 각 도구가 가진 표현의 가능성을 최대한 실험해 보고 싶었어요. 그리고 그 모든 요소들이 하나의 세계처럼 어우러질 수 있을지 보고 싶었죠.

I just want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each tool offers and see how everything could come together like a capsule.

Q. 사람들에게 어떤 아티스트로 기억되고 싶으신가요?

What kind of artist would you like to be remembered as?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네요. 언젠가 제 작업들이 제가 어떤 아티스트였는지 그 답을 대신 해줄 거라고 생각해요.

That's something hard to answer. I hope my body of work will speak for that at some point.

Q. 작가로서의 최종 목표나, 꼭 해보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나요?

What’s your ultimate goal as an artist—or a dream project you’d love to take on one day?

하나의 거창한 꿈의 프로젝트를 꿈꾸진 않아요. 그저 매번 다가오는 다음 프로젝트를 기대하고, 그 안에서 제 최선을 다하려고 해요. 언젠가는 그중 하나가 정말 큰 작업이 될 수도 있겠죠. 인생이란 게 원래 그런 거니까요.

I don't have one big dream project. I just look forward to the next project that comes up and try to do my best. Maybe someday one upcoming project will be something big. Who knows?

Q. 마지막으로, 각자만의 '멈추지 않는 걸음'으로 나아가고 계시는 분들께 응원의 말씀 혹은 조언을 해주신다면?

Lastly, do you have any advice for those who 'keep marching for their dreams'?

일하고 일하고 또 일하세요. 절대 포기하지 말고, 희망을 잃지 마세요!

Work, work, work. Never give up and never lose hope!

테오도루
Theodoru

ZFG Kranyus

Q.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


Could you briefly introduce yourself?

제 이름은 테오도루 바디우입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예요.


My name is Teodoru Badiu. I am an artist based in Vienna, Austria.

Q.  어떻게 팝 아티스트의 길을 걷게 되셨나요?


How did you start your journey as a pop artist?

저는 어릴 적부터 예술에 관심이 많았어요. 아버지께서 예술가이자 사냥꾼, 박제사이셨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동물과 새를 박제하는 법을 배우며 자랐죠. 그 무렵부터 해골과 뼈를 활용한 조각 작업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본격적인 작가 생활은 1990년대 초, 비엔나의 People’s Art School에 다니면서 시작됐어요. 이후 포토샵과 디지털 카메라를 활용해 초현실적인 이미지 작업을 하며 디지털 아티스트로서의 길을 걷게 됐고, 1990년대 말에는 웹사이트 Apocryph.net을 통해 제 작업 세계를 처음 공개하게 되었죠. 2005년, SAE 칼리지에서 공부하며 처음 CINEMA 4D를 접하게 된 경험이 제 작업 세계를 완전히 바꿔놨어요. 같은 해에 www.Theodoru.com을 개설하며 본격적으로 3D 기반의 일러스트와 캐릭터 작업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제 잉크 드로잉 작업들을 위한 www.Popartoons.com도 운영하고 있어요.


I’ve been into art for as long as I can remember. My father was an artist, hunter, and taxidermist, so I grew up surrounded by his work—and even learned how to prepare animals and birds as a kid. That’s when I started experimenting with bones and skulls, eventually making my first sculptures. My journey as an artist began in the early ’90s at the People’s Art School in Vienna. I later explored surreal photo manipulations using Photoshop and my own photography, which led to the launch of my first website, Apocryph.net, in the late ’90s. In 2005, I discovered CINEMA 4D while studying at SAE College, and it completely changed my creative direction. That same year, I launched Theodoru.com and began focusing on 3D illustration and character design. I also started Popartoons.com to showcase my ink drawings.

Q. 가장 애착이 가는 대표작은 무엇인가요? 그 작품이 작가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What is the work you feel most attached to? I'd love to hear why that piece holds special meaning for you.

사실 저에게는 ‘지금 작업 중인 작품’이 언제나 가장 특별한 작품이에요. 하지만 꼭 하나를 꼽아야 한다면, 제게 가장 특별한 의미를 지닌 캐릭터는 제 또 다른 자아, Kranyus라고 할 수 있겠네요.


The truth is, whatever I’m currently working on always feels like the most special to me.
But if I had to choose one piece or character that holds a special meaning, it would be Kranyus, my alter ego.

Q. 주로 어디에서 영감을 받으시나요?


Where do you mainly draw inspiration from?

제 작업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건 단연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에 박제사로 일했던 경험이에요. 그리고 또 하나 큰 전환점이 되었던 건, 23살 때 총에 세 발이나 맞은 사건입니다. 그 이후로 저는 매일 뼈 통증을 안고 살아가고 있어요. 그런 신체적인 경험도 제 예술에 원천이 되었죠. 그리고 제 작업에 큰 영감을 주는 또 다른 원천은 제가 어린 시절부터 좋아했던 고전 애니메이션들이에요. 지금까지도 애정을 가지고 있는 디즈니, 맥스 플라이셔, 업 아이웍스, 그림 내트윅, 그리고 하나-바버라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들은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 제 작업 방식에 큰 영향을 줬어요. 그 외에도 히에로니무스 보쉬의 작품들, 그리고 초현실주의와 팝아트 아티스트들(리히텐슈타인, 워홀, 키스 해링 등)의 영향도 받았어요.


One of the biggest early influences on my work came from my childhood and teenage years working in taxidermy. At 23, I was shot three times—a traumatic event that still affects me today, as I live with chronic bone pain. That experience continues to shape my perspective and artistic voice. Another major source of inspiration is the classic cartoons I grew up with and still love to this day. The works of Disney, Max Fleischer, Ub Iwerks, Grim Natwick, and Hanna-Barbera have had a huge impact on my character-based creations. I’m also deeply inspired by the paintings of Hieronymus Bosch, as well as the Surrealist movement and Pop Art icons like Lichtenstein, Warhol, and Haring.

Q. 아이디어를 실제 작업물로 옮길 때의 창작 과정이 궁금해요. 스케치, 스토리, 시각 이미지 중 어떤 것으로부터 시작되나요?


We're curious about your creative process. When developing a piece, do you usually start with a sketch, a story, or a visual image?

제 작업의 거의 모든 시작은 스케치북에 그린 작은 드로잉에서 출발해요.


Almost everything that I create starts with a sketch in my sketchbook.

Q. 작품 속에 귀여움과 잔혹함이 공존하는 것 같아요. 작품 속 캐릭터들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나 메시지가 있으신가요?


There seems to be a coexistence of cuteness and brutality in your work. Is there a specific theme or message you aim to convey through your characters?

사실 제 모든 작업에는 하나의 공통된 메시지가 담겨 있어요. 바로 희망을 잃지 말자는 거죠. 삶이 육체적이든 정신적이든 고통뿐인 것처럼 느껴질 때조차, 언제나 그 안에서 빛나는 무언가를 찾아보려는 태도가 중요해요. 절대 포기하지 말고, 희망을 잃지 말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어요.


Actually, all of my work revolves around the idea of never losing hope. Even when life feels like it’s full of nothing but pain—whether physical or emotional—I believe it’s important to keep looking for the bright side. Never give up, and never lose hope.

Q. 만약 작가님의 캐릭터가 하루 동안 실제로 살아 움직일 수 있다면, 어떻게 행동할 것 같나요?


If one of your characters could come to life for just one day, how do you think they would act?

그냥 그 상황에서 최선을 다하려고 할 거라고 생각해요. 살아 있다는 사실 자체를 마음껏 누리며, 인생을 있는 그대로 즐기고자 할 거예요.


I think it would try to make the most of it—enjoy being alive, have fun, and live to the fullest.

Q. 작가님은 오스트리아를 기반으로 활동하고 계실 텐데, 오스트리아의 아트토이 문화는 어떤 분위기인가요?
그곳의 창작 환경이 작가님의 작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궁금합니다.


You’re currently based in Austria—what is the art toy culture like there? And how has the creative environment around you influenced your work?

안타깝게도 오스트리아에는 아트토이 문화가 거의 없어요. 반면 스트리트 아트와 팝아트 커뮤니티는 꽤 활발하고 다양하죠. 전시를 보러 다니거나 작가 친구들과 만나서 함께 어울리고, 아이디어를 나누는 시간을 자주 가지곤 해요.


Unfortunately there is almost no art toy culture there. On the other hand, the street and pop art communities are quite vivid and diverse. I used to go to exhibitions and meet up with artist friends to hang out with them and exchange ideas.

Q. 여행을 다니시면서 작가님의 캐릭터들(Skulltoons, Kiyoko, Kuwalla 등)과 동행하며 사진을 찍어주시는 게 인상 깊은데요. 이런 작업이 작가님한테 어떤 의미가 있는지 궁금해요.


We’ve found it fascinating how you travel with your characters—like Skulltoons, Kiyoko, and Kuwalla—and photograph them on location. What does this practice mean to you?

제 캐릭터들은 모두 제 마음속에 특별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서, 가능하다면 어디를 가든 몇몇 캐릭터들을 꼭 함께 데려가요.
그렇게 여행을 다니다 보면 멋진 추억이 쌓이기도 하고, 전 세계에서 만나는 사람들에게 캐릭터들을 직접 보여줄 수 있는 기회가 생기죠.
그렇게 시작된 만남이 새로운 협업이나 영감으로 이어지기도 했어요.


All my characters have a special place in my heart and I love to have some with me wherever I go, if possible. That way some wonderful memories are made and I also have the chance to introduce them when I meet people around the world that could lead to new collaborations or ideas.

Q. 이번 작품에 대해 설명해 주시겠어요?


Could you tell us about the piece you created for this collaboration?

이번 협업에서는 Kranyus를 중심에 두되, 그중에서도 이 캐릭터의 ZFG (Zero F*cks Given) 모드를 보여주고 싶었어요. 이런 태도나 상징은 제 작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테마인데요. 저에게는 '인생에서 모든 걸 통제할 수는 없고, 때로는 그냥 흘려보내고 내려놓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요.


For this collaboration I wanted to use Kranyus as a base but in his ZFG(Zero F*cks Given) attitude. The TFG attitude or sign is a theme that I use often. For me it means that in life you can't control everything and sometimes you have to let go and adopt that attitude.

Q. 이번 작품이 스케치를 비롯해서 스니커즈, 토이, 3D 콘텐츠까지 굉장히 입체적이에요. 이렇게 다양한 형태로 확장하게 된 계기가 있을까요?


This project spans sketches, sneakers, toys, and even 3D content—it’s impressively multidimensional. What led you to explore so many different formats in this piece?

제가 사용하는 각 도구가 가진 표현의 가능성을 최대한 실험해 보고 싶었어요. 그리고 그 모든 요소들이 하나의 세계처럼 어우러질 수 있을지 보고 싶었죠.


I just wanted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each tool offers and see how everything could come together like a capsule.

Q. 사람들에게 어떤 아티스트로 기억되고 싶으신가요?


What kind of artist would you like to be remembered as?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네요. 언젠가 제 작업들이 제가 어떤 아티스트였는지 그 답을 대신 해줄 거라고 생각해요.


That's something hard to answer. I hope my body of work will speak for that at some point.

Q. 작가로서의 최종 목표나, 꼭 해보고 싶은 프로젝트가 있나요?


What’s your ultimate goal as an artist—or a dream project you’d love to take on one day?

하나의 거창한 꿈의 프로젝트를 꿈꾸진 않아요. 그저 매번 다가오는 다음 프로젝트를 기대하고, 그 안에서 제 최선을 다하려고 해요. 언젠가는 그중 하나가 정말 큰 작업이 될 수도 있겠죠. 인생이란 게 원래 그런 거니까요.


I don't have one big dream project. I just look forward to the next project that comes up and try to do my best. Maybe someday one upcoming project will be something big. Who knows?

Q. 마지막으로, 각자만의 '멈추지 않는 걸음'으로 나아가고 계시는 분들께 응원의 말씀 혹은 조언을 해주신다면?


Lastly, do you have any advice for those who 'keep marching for their dreams'?

일하고 일하고 또 일하세요. 절대 포기하지 말고, 희망을 잃지 마세요!


Work, work, work. Never give up and never lose hope!

PF. KAKAO
78under
CONTACT
1877-5784

ADDRESS
702, 7F B-DONG, 59, SEONGSUIL-RO 8-GIL, SEONGDONG-GU, SEOUL


HELLO@78UNDER.COM

BANK INFO
KEBHana Bank 210-910041-84004

FOLLOW

COMPANY

MAIL-ORDER LICENSE

BUSINESS LICENSE

CHIEF PRIVACY OFFICER

CHIEF EXECUTIVE OFFICER


Hosting Service Provider

Imweb Corp.


© Copyrights 2022. Seven Eight Under all rights reserved.
The content may not be published, rewritten or redistributed.

PF. KAKAO
78under

CONTACT
1877-5784

ADDRESS
702, 7F B-DONG, 59, SEONGSUIL-RO 8-GIL,
SEONGDONG-GU, SEOUL
BANK INFO
KEBHana Bank 210-910041-84004
HELLO@78UNDER.COM
BUSINESS LICENSE
764-87-01778
MAIL-ORDER LICENSE
2022-서울성동-00121
CHIEF EXECUTIVE OFFICER
SEHGEUN CHOI
CHIEF PRIVACY OFFICER
SEHGEUN CHOI
FOLLOW
COMPANY
WMW, Inc.

Hosting Service Provider ㅣ Imweb Corp.

© Copyrights 2022. Seven Eight Under all rights reserved. The content may not be published, rewritten or redistributed.